스마트 링
스마트링이라고 불리우는 제품을 삼성전자에서 이번 MWC 에서 갤럭시 링이라는 가제로 발표하였습니다.
지난 1월 갤럭시 s24 언팩행사에서 티저 영상으로 이미 발표하였었습니다. 사람들에게 기대감을 높이고 이번 MWC 행사에서 실물을 공개했습니다.
실물의 실버모델 과 골드 모델을 선보였으나 아쉽게도 실제 착용하거나 테스트해볼수는 없었습니다.
아직 갤럭시 링이라는 것도 가제에 불과한 것으로 보이고 이름도 어떻게 될지는 확실히 정해진것은 아닌듯합니다.
과거 오우라 링 출시된 적이 있는데 디자인은 이와 크게 바뀐점은 없는듯합니다.
그 뒤 스마트 링이라고 하여 여러 회사에서 많은 제품이 출시되었습니다. 대부분 NFC기능만 들어가 있거나 간단한 기능만 탑재한 제품이 대다수 였습니다.
S24언팩행사 이후에 갤럭시 웨어러블 앱에 숨겨진 파일에서 반지 모양의 아이콘이 발견되었고 갤럭시 링이라는 표현과 함께 2024년 출시에 대한 언급이 있었습니다. 또 삼성의 굿락 앱에서 삼성 웨어러블 기기에 배터리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위젯의 갤럭시 링이 새롭게 추가되었습니다.
스마트링 기능
스마트링인 삼성의 갤럭시 링은 오우라 링에서 업그레이드 된 버전이 될 것으로 추측하고 오우라 링의 대부분 기능은 가지고 올것으로 보입니다.
LCD나 OLED등 화면이 없으며 과거 오우라링을 생각해보면 일단 배터리는 갤럭시 워치에 비해서는 훨씬 오래 작동될 것이기에 디지털 헬스 기록하는데 특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반지 형태는 시계 형태보다 무게나 착용감을 생각한다면 훨씬 오랜 시간 착용하는데 부담을 덜 수 있고 그에 따라 체온이나 심박 수 산소포화도 스트레스 지수 수면데이터 걷기나 계단오르기 등 운동 데이터를 24시간 측정하는데 유리합니다.
특히 스마트 링은 자신의 손가락에 맞는 사이즈를 끼게 되므로 워치를 손목에 느슨하게 착용할 때 제대로 측정하지 못하는 걱정은 덜게 될 것입니다. 다만 손가락의 혈류는 손목보다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정확성이 조금 떨어질수도 있는데 이걸 극복하는것이 과제라 생각됩니다.
혈당의 경우 들어가면 좋겠지만 미FDA의 경우 침투형이 아니면 인정하지 않는다고 선언한 상태이므로 미국판매도 생각중인 삼성전자로서는 혈당체크 기능은 넣지 않을거 같습니다.
일부 워치류에서도 가능했던것처럼 갤럭시 링으로 삼성 가전제품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이 들어갈것으로 보여집니다.
예를 들면 TV전원 온오프나 볼륨조절 전등 온오프 이러한 기능을 링을 찬 상태에서 모션동작으로 쓸수있을거 같습니다.
진동 기능 여부
진동은 전화상 알림이 올경우 확인용도로서 필수적이긴하지만 진동기능이 들어갈지는 미지수 입니다.
이유는 진동이 들어가면 배터리가 빨리 닳게되는 원인이 됩니다. 중국산 스마트 링 중에 진동기능이 들어간 링이 존재합니다만 배터리 효율이 좋지 못합니다. 따라서 진동 기능을 작은 링에 넣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으나 배터리 효율을 생각하면 안들어갈듯 합니다.
예상 가격
오우라 링의 가격이 299달러에서 550달러대 입니다. 그러나 오우라 링의 모든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매달 유료 구독형 결제를 해야합니다. 갤럭시 링도 이와 비슷하지 않을까라는 예상을 하고 있습니다. 유료 구독형을 넣지 않고 모든 기능을 다 넣는다고 하면 최소 30만원대 많게는 50만원대로 나오지 않을까 예상하고 있습니다만 아무래도 갤럭시 워치보다는 저렴하게 판매하지 않을까 하는 예상들도 많습니다.
웨어러블 시장에서 애플이 애플워치와 이어버드 등에서 압도적인 1위를 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삼성에서는 애플을 뛰어넘을 만한 제품과 시장선점을 하고 싶어할텐데 그 타겟을 스마트 링으로 한것으로 보여집니다.
갤럭시 링의 경우 심전도, 심박수와 혈압 측정, 혈중 산소 측정이 가능할 것으로 보여지는데 애플은 마시모사와 특허 소송으로 인해서 해당 기능을 미국에서 당장 제공하긴 어려운 입장에 있습니다. 따라서 지금 갤럭시 링으로 스마트 링 시장을 선점하고 디자인도 선점할 수 있으므로 스마트 링 시장에서 압도적으로 치고 나갈수있는 기회일 것입니다.
삼성전자는 애플 비전 프로와 비슷한 AR헤드셋을 준비했었으나 애플 비전 프로의 디스플레이 사양이 예상보다 좋게 나와서 미뤄졌다는 설이 있습니다. 스마트 링과 AR/VR 헤드셋의 연동을 통한 시너지 효과를 노렸을텐데 미뤄진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전체적인 웨어러블 시장에서 파이를 조금이라도 더 가져오기 위해서는 스마트 링 출시는 임박해지지 않았나 싶습니다.
애플링도 나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지만 특허문제 등 쉽게 바로 나오긴 어려운 시기입니다. 물론 애플은 고객들의 충성도가 높기 때문에 서두를 필요는 없겠지만 디자인 선점 등의 이점을 잃는다는 점에서는 아쉬울수있습니다.
갤럭시 링 디자인
갤럭시 링의 경우 먼저 골드 / 실버 / 블랙 모델이 출시될 것으로 예상되어지고 있습니다.
차후에 링에 다양한 소재를 결합해서 출시할 수도 있고 조금씩 디자인을 변경해서 낼 수도 있을것입니다.
명품 콜라보
갤럭시 휴대전화 모델들의 경우 명품들과 콜라보를 통해 재미를 봐왔었습니다.
갤럭시 링의 경우 반지라는 특수성에 따라 더욱 명품 브랜드들과 콜라보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루이뷔통등과 콜라보해서 몇배의 가격으로 판매해도 명품 브랜드의 악세사리라는 점 때문만이라도 엄청나게 팔릴것은 누구나 예상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온라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 갤럭시 One Ui 카메라 무음 설정방법/카메라 셔터음 제거/ 갤럭시 무음 (1) | 2024.03.04 |
---|---|
애플(APPLE) 애플카 포기 (0) | 2024.02.29 |
인텔 100억 달러 칩스법(Chips) 지원금 삼성 TSMC 포함여부 (2) | 2024.02.25 |
애플(APPLE) 과 MicroSoft (0) | 2024.02.22 |
갤럭시 S24 문제점 및 이슈들 (1) | 2024.02.21 |